본문 바로가기
발달장애 아동 청소년을 위한 정보

#7 형제자매 관계 형성 방법 – 비장애 형제자매와의 관계 개선 및 부모의 역할

by 느린아이맘 다미 2025. 3. 29.

1. 지적장애 아동과 비장애 형제자매 관계 형성의 중요성

지적장애 아동이 있는 가정에서 형제자매 간의 관계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비장애 형제자매가 지적장애를 가진 형제자매를 이해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면, 장애 아동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발달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형제자매 관계에서 다양한 갈등과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형제자매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

  1. 비장애 형제자매의 감정적 부담: 부모의 관심이 장애 아동에게 집중되면서 비장애 형제자매가 소외감을 느낄 수 있음.
  2. 책임감의 과부하: 장애 형제를 돌보는 역할을 강요받으며 심리적인 압박을 받을 가능성 높음.
  3. 사회적 고립: 친구들에게 장애 형제를 소개하는 것을 어려워하거나, 가정 내 부담으로 인해 개인 시간이 부족해질 수 있음.
  4. 갈등 증가: 장애 형제자매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지 못하면서 의사소통 문제로 형제 간 다툼이 발생할 수 있음.
  5. 미래에 대한 불안감: 부모가 나이가 들었을 때 장애 형제자매를 돌봐야 한다는 부담이 생길 수 있음.

💡 실생활 사례
"큰아이는 동생을 아끼지만, 동생 때문에 부모님의 관심을 충분히 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것 같아요. 가끔은 질투심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 10세 아동 부모
"중학생이 된 딸이 '나는 항상 동생을 돌봐야 해서 힘들어'라고 말할 때 마음이 아팠어요." - 13세 청소년 부모
"고등학생이 된 아들이 장애를 가진 동생 때문에 자신의 꿈을 포기해야 하는 건 아닐까 걱정하고 있어요." - 17세 청소년 부모
"비장애 형제가 장애 형제자매를 학교에서 숨기고 싶어 했던 적이 있어요. 친구들이 알게 되면 놀릴까 봐 두려워하더라고요." - 12세 아동 부모
"부모로서 두 아이에게 균형 있는 사랑을 주고 싶지만, 현실적으로 장애가 있는 아이에게 더 신경을 쓰게 되는 것이 사실이에요." - 15세 청소년 부모

부모는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고, 형제자매 간의 건강한 관계 형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합니다.

 

2. 시기별 형제자매 관계 형성 방법 (초·중·고등학생 및 성인)

🧒 초등학생 (6~12세) – 기초 관계 형성

✔️ 놀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관계 형성: 보드게임, 역할놀이 등 함께 할 수 있는 활동 제공
✔️ 서로를 존중하는 방법 가르치기: 아이들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
✔️ 비장애 형제자매의 감정을 수용해 주기: 부모가 적극적으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줌

💡 학부모 경험담
"처음엔 아이들이 자주 다퉜지만, 협동할 수 있는 보드게임을 통해 사이가 더 좋아졌어요." - 8세 아동 부모
"비장애 형제가 동생의 장애를 이해하도록 동화책을 읽어주면서 설명했더니 훨씬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어요." - 9세 아동 부모

🧑‍🎓 중학생 (13~15세) –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및 갈등 조절

✔️ 서로의 역할을 명확히 하기: 형제자매 간의 역할과 책임을 공평하게 나누기
✔️ 감정 표현 연습: 자신의 감정을 존중받을 수 있도록 대화 기회 제공
✔️ 협력할 수 있는 활동 제공: 요리, 캠핑, 퍼즐 맞추기 등 함께 할 수 있는 경험 쌓기

💡 학부모 경험담
"중학생이 된 후 형제가 서로 독립적인 시간을 원하면서도 함께하는 시간을 소중하게 여기게 되었어요." - 14세 청소년 부모
"갈등이 생길 때마다 차분한 대화법을 연습하게 했더니 감정을 폭발시키는 일이 줄어들었어요." - 13세 청소년 부모

🏫 고등학생 및 성인 (16세 이상) – 독립성과 유대감 유지

✔️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대화법 연습
✔️ 각자의 목표를 지지하는 분위기 조성
✔️ 장애 형제자매의 미래 계획을 함께 논의하기

💡 학부모 경험담
"고등학생이 되면서 동생의 장애를 더욱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감동적이었어요." - 17세 청소년 부모
"비장애 형제가 대학 진학 후에도 동생과 정기적으로 시간을 보내려고 해요. 가족으로서의 유대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성인 자녀 부모


3. 부모가 할 수 있는 실천 방법

✔️ 각 자녀에게 공평한 관심 주기

✔️ 형제자매 간 긍정적인 경험 쌓기 (함께하는 활동 추천)

✔️ 비장애 형제자매의 정서적 지원 (심리 상담 제공 등)

✔️ 가족 회의를 통해 감정 나누기

✔️ 지적장애 형제자매의 강점을 강조해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

💡 학부모 경험담
"비장애 형제자매가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역할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어요." - 12세 아동 부모

 


4. 연구 및 논문 자료

📖 “장애아동과 비장애 형제자매 간의 관계 연구” - 한국특수교육학회
📖 “부모의 역할이 형제자매 관계에 미치는 영향” - 국립특수교육원
📖 “형제자매 관계 형성 프로그램의 효과” - 한국발달장애연구소


5. 참고 자료

📌 국립특수교육원 가족 교육 자료 - www.nise.go.kr
📌 보건복지부 장애가정 지원 프로그램 - www.mohw.go.kr
📌 한국장애인개발원 가족 상담 서비스 - www.koddi.or.kr


🔍 마무리하며

형제자매 간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은 부모의 역할과 환경 조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녀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협력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다양한 대화 기회를 제공하고, 가족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유해주세요!

형제자매 관계 형성에 대한 경험이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