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달장애 아동 청소년을 위한 정보

#12 자폐와 지적장애의 차이점 및 공존 가능성 – 부모님들이 혼동하는 사례 10가지

by 느린아이맘 다미 2025. 4. 2.

1. 자폐와 지적장애의 주요 차이점

자폐스펙트럼 장애(ASD)와 지적장애(ID)는 종종 혼동되지만,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 주요 차이점

구분자폐스펙트럼 장애 (ASD)지적장애 (ID)

주요 특징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장애, 반복적 행동 전반적인 지적 기능 저하, 적응 기능의 어려움
언어 발달 언어 사용이 비정상적이거나 반복적 언어 발달 자체가 늦거나 어려움
학습 능력 특정 분야에 뛰어난 능력 가능 전반적인 학습 능력이 낮음
사회적 관계 또래 관계 형성 어려움, 감정 이해 부족 의사소통은 가능하나 전반적 지능 저하로 인한 어려움
감각 반응 특정 감각(소리, 빛, 촉감)에 예민함 감각 반응은 일반적이거나 둔함

 

자폐와 지적장애는 별개의 장애이지만, 일부 사례에서는 두 장애가 함께 나타나기도 합니다.

 


2. 두 장애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와 구별 방법

✔️ 중복 진단 가능성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중 약 30~50%가 지적장애를 함께 가질 수 있음
  • 하지만 모든 자폐 아동이 지적장애를 가진 것은 아님

✔️ 구별 방법

  • 지적장애만 있는 경우: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경우가 많음
  • 자폐만 있는 경우: 언어는 가능하지만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표현
  • 두 장애가 함께 있는 경우: 언어 발달 지연, 반복 행동, 전반적인 지적 기능 저하


3. 부모님들이 혼동하는 사례 10가지

1️⃣ “우리 아이가 말을 늦게 배워서 자폐인가요?” → 언어 지연은 자폐와 지적장애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음

2️⃣ “아이의 IQ가 낮으면 자폐인가요?” → 자폐는 IQ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3️⃣ “눈을 맞추지 않으면 무조건 자폐인가요?” → 감각 민감성 문제일 수도 있음

4️⃣ “반복적인 행동을 하면 자폐인가요?” → 강박장애(OCD)와의 감별 진단 필요

5️⃣ “친구를 사귀기 어려워하는데 자폐인가요?” → 사회불안 장애나 ADHD 가능성도 고려해야 함

6️⃣ “특정 분야에만 뛰어난데 자폐인가요?” → 서번트 증후군과 감별 필요

7️⃣ “자폐는 치료가 불가능한가요?” → 조기 개입을 통해 기능 향상 가능

8️⃣ “자폐는 유전인가요?” → 유전적 요인이 있음

9️⃣ “지적장애가 있는 아이는 자폐 검사도 해야 하나요?” → 두 장애가 함께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

🔟 “두 장애가 있으면 학교 생활이 불가능한가요?” → 특수교육과 지원 시스템 활용 가능

 

4. 자폐 및 지적장애 체크리스트 (연령별)

✔️ 영유아기(0~5세) 체크리스트

  •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음
  • 눈 맞춤이 거의 없음
  • 특정 장난감이나 활동에 집착함
  • 손 흔들기, 빙글빙글 돌기 등 반복 행동
  •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이 어려움

✔️ 초등학생(6~12세) 체크리스트

  • 또래 친구와 관계 형성이 어려움
  • 말을 배웠으나 의사소통이 자연스럽지 않음
  • 강한 감각 민감성을 보임 (소리, 냄새, 촉감 등)
  • 습관적인 반복 행동이 있음

✔️ 중학생(13~18세) 체크리스트

  • 사회적 상황에서 부적절한 행동을 보임
  •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느낌
  • 특정 주제에 대한 강한 집착
  • 감정 표현이 제한적이거나 비정상적

✔️ 성인(19세 이상) 체크리스트

  • 직장에서 대인관계 형성에 어려움
  • 스스로 일상생활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움
  • 특정 루틴에 강한 집착
  • 감정 공감 능력이 부족함


5. 연령별 치료 방법 및 지원 시스템

✔️ 초등학생(6~12세) 치료법

  • 개별 맞춤 교육 (특수학급 활용)
  • 사회성 훈련 및 놀이 치료
  • 감각통합 치료 (예민한 감각 반응 조절)

✔️ 중학생(13~18세) 치료법

  • 사회적 기술 훈련 (또래 관계 형성)
  • 진로 탐색 및 직업교육
  • 정서 조절 프로그램

✔️ 고등학생 및 성인(19세 이상) 지원

      • 자립 생활 훈련
      • 직업 지원 프로그램
      • 공공 지원 서비스 활용

6. 조기 진단 및 치료 방법

✔️ 조기 진단의 중요성

      • 조기 개입을 하면 아이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
      • 부모 교육을 통해 가정 내에서의 돌봄 질을 높일 수 있음

✔️ 전문가 상담 방법

 

      • 심리 평가 및 행동 관찰 검사 (ADOS-2, CARS 등)
      • 신경 발달 검사 및 유전자 검사 활용

✔️ 조기 개입 치료의 효과

      • ABA 치료 (응용행동분석) → 행동 수정
      • 감각통합 치료 → 감각 예민성 조절
      • 놀이 치료 → 또래 관계 향상

✔️ 초중고 성인 시기별 치료법 및 적용 방법

    • 초등학생: 개별 맞춤 교육, 사회성 훈련
    • 중학생: 정서 조절 프로그램, 진로 탐색
    • 고등학생 및 성인: 자립 생활 훈련, 직업 지원 프로그램


7. 연구 및 논문 자료

📖 "자폐와 지적장애의 신경학적 차이 연구" - 한국발달장애연구소

📖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의 치료 방법" - 한국특수교육학회

📖 "반복적 행동과 신경과학적 접근" - 국립특수교육원


🔍 마무리하며

자폐와 지적장애는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자녀의 증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전문가 상담을 통해 올바른 지원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유해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댓글